"커뮤니케이션의 과잉시대"라고 불러도 좋을 시대에..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우울증과 외로움으로 고통받는다. 정말 아니러니다. 자신의 심리상태를 시시각각 소셜네트워크를 통해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대신, 단 한사람이라도 진심어린 대화와 공감을 나눌 수 있는 누군가를 필요로 하는 것이 어쩌면 인간의 본성이 아닐까.
세계적인 스테디 셀러인 <아직도 가야할 길> 시리즈의 스캇 펙 박사가 이 책을쓴 것이 1987년. 가족 의 해체와 개인주의의 문제점들이 여러가지 사회문제로 표면화되던 시점에 저자가 가졌던 문제의식과 대안이 2012년 대한민국의 상황에정확하게 들어맞는 점이흥미롭다. 함께하는 법을배우지 못하면 생존까지도 위협받을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져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30여 년간 세계적인 스테디셀러로 자리해온 아직도 가야 할 길의 저자 스캇 펙은 삶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무수한 문제와 고통을 해결하는 방법은 ‘정면 돌파’뿐이라고 주장해왔다. 내 앞의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는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고 개인의 성장도 없다고 강조하던 저자는, 이제 동일한 문제의식을 보다 넓은 범위로 확장한다. 내 이웃과 국가, 세계인이 모두 행복해지지 않는다면 결국 개인의 행복은 일시적이고 불안한 한때의 만족일 따름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마음 비우기의 진정한 의미가 의사소통의 장애물을 없애는 것이며, 그것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고통스러운 훈련이 필요했다면, 이제 진정한 공동체를 이루기 위해 우리가 버려야 할 가장 일반적인 소통의 장애물을 제대로 인식하고 없애는 작업에 들어가야 할 차례다. 책을 읽으며 진정한 마음 비우기의 연습을 해볼 수 있다.
1부 기초
01. 공동체와의 조우
프렌즈 세미너리, 1952~1954년/캘리포니아, 1967년 2월/오키나와, 1968~1969년/메인 주 베델, 1972년 6월
02. 개인 그리고 단호한 개인주의의 오류
03. 공동체의 진정한 의미
공동체는 포용과 헌신을 통해 전원합의가 이루어지는 곳/공동체는 현실을 바로 보려고 노력한다/공동체는 끊임없는 자기성찰이 필요한 곳/공동체는 안전한 곳/공동체는 무장해제를 위한 실험실이다/품위 있게 싸울 수 있는 집단/구성원 모두가 인도자인 집단/공동체의 정신은 평화다
04. 공동체의 기원
위기가 있어 공동체가 필요하다/공동체는 우연히 이루어지기도 한다/공동체 설계 과정에서 얻은 결론 몇 가지
05. 공동체가 만들어지는 단계
사이비 공동체/혼란/마음 비우기/공동체
06. 공동체의 역학 분석
집단행동의 유형 4가지/집단행동을 조정해야 할 때/공동체의 적정 규모/공동체가 만들어지는 기간/공동체에 대한 헌신/공동체 만들기를 앞당기는 몇 가지 훈련법
07. 공동체의 유지
성 앨로이셔스 교단/지하실집단/슬럼프에 빠진 공동체, 유지할 것인가 해체할 것인가
2부 교량
08. 인간의 본성
다원주의의 문제/인간 본성에 대한 환상/변화할 수 있는 능력/현실주의와 이상주의, 그리고 낭만주의
09. 변화의 유형
영적 성장의 4단계/문화 초월하기/이스라엘
10. 마음을 어떻게 비울 것인가
11. 마음 여림
12. 통합과 통합성
무엇이 빠졌나?/이단과 역설/신성모독을 꿰뚫고 통합의 세계로
3부 해결책
13. 공동체와 의사소통
14. 무기경쟁의 차원
기관으로서의 무기경쟁/무력함이라는 심리/때로는 강압적인 정신치료도 필요하다/국가체제는 무기경쟁의 발단/게임을 끝내는 유일한 방법은 게임을 그만두는 것/변화의 열쇠는 제도의 파괴가 아니라 탈바꿈에 있다/민족주의: 건강한 것인가, 병든 것인가?
15. 미국의 기독교 교회
예수, 당신은 어디에 있는가?/성 목요일의 혁명/유사가현설假現說: 교회의 이단성/교회는 전쟁터가 되어야 한다/세상에 대해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이유
16. 미합중국 정부
정부 안에는 공동체가 없다/미국 대통령직의 비현실성/공동체적 대통령직을 향하여
17. 권한의 부여
이제 무엇을 할 것인가?
카테고리 없음